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475

[논리모델링] 엔터티만 보고 1차 정규화 대상 여부를 알 수는 없다. 1차 정규화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부터 간단하게 짚고 가도록 하겠다. 엔터티의 속성이 원자값(Atomic Value, 하나의 값)을 갖도록 테이블을 분해하는 것 속성이 하나의 값을 가진다는 의미는 속성 내에서 하나의 값을 가지는 것과, 레코드 단위에서 하나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해당 내용에서는 후자에 대해서만 언급하겠다. 아래 엔터티를 보자. 해당 엔터티에 대응되는 테이블에는 아래의 값을 예시로 한다. 여기서 환자번호 2의 김갑수 환자가 몇달 뒤 재진료를 하게 되어 신규 데이터가 발생하였다. 보이는가? 주민등록번호야 업무식별자니까 그렇다 치더라도 아래 4개의 데이터는 중복해서 들어갔다. 지번주소 도로명주소 상세주소 우편번호 성별 휴대폰 등록자명 등록자명의 경우 시스템속성이므로 제외하겠다. .. 2023. 6. 4.
[후기] 언어의 무게 이번엔 파스칼 메르시어의 아래와 같은 책을 읽었다. 독서 기간은 아래와 같다. 2023-05-18 ~ 2023-06-03 처음 책을 마주 했을 때 들었던 생각은 암담함이었다. 책이 호신용품처럼 느껴질 정도로 두꺼웠다. 맞으면 아플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읽는 내내 사건 전개보다는 개인의 생각이나 풍경묘사가 생각보다 많다는 점이 이어졌다. "오만과 편견"과 비슷할 수도 있겠으나 그 책은 개인의 성격이나 특징을 독특하게 튀어오르게 강조하는 느낌이 들었다면 이 책은 전체적으로 캐릭터들이 "담담" 했다. 등장 인물들의 주요 연령대가 50대 이상이어서 그럴 수도 있겠다. 그래서 더더욱 졸린 면도 있었다. 하지만 소재 자체는 괜찮았다. 번역가야 말로 그 책을 가장 잘 이해하는 사람이라고 언급했을 때에는 내가 지.. 2023. 6. 3.
[논리모델링] 논리 모델링과 물리 모델링은 별개일까? 해당 내용을 논리 모델링에 쓸지, 물리 모델링에 쓸지 고민을 하였다. 현업에서는 논리 데이터 모델링을 먼저 진행하므로 해당 주제에 내용을 전개하고자 한다. 논리 모델링이란 무엇인가, 물리 모델링이란 무엇인가 개념적이고 이론적인 내용은 넘어가겠다. 대부분의 이론 책을 보면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에 따라 모델링이 진행됨을 소개한다. 여기서 개괄 데이터 모델, 개념 데이터 모델에 대한 부분은 해당 글의 주제를 벗어나므로 제외한다. 논리 데이터 모델링과 물리 데이터 모델링은 언뜻 보기에는 전혀 다른 영역처럼 보인다. 하지만 다른 영역이라고 볼 수는 없다. 다시 아래와 같이 언급하고자 한다. 논리 데이터 모델과 물리 데이터 모델을 별개의 영역이라 보는 것은 좋지 않다. 그렇다면 같은 영역인가? 그것도 아니다. 필자.. 2023. 5. 29.
[후기] 어린 왕자 동심을 되찾기 위해 생텍쥐페리 저자의 아래 책을 읽었다. 독서 기간은 아래와 같다. 2023-04-28 ~ 2023-04-30 이 유명한 책을 이제서야 읽다니 반성 한번과 기대 한번이 동시에 일어났다. 역시 명불허전답게 굉장히 낭만적인 글귀들이 많았다. 거기에 함축적이고 작가가 영혼을 갈아 넣었다는 듯한 느낌 또한 들었다. 특히 길들여진다는 의미에 대해서는 내 감정이 왜 이런가에 대해 객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되어 더 좋았다. 그 외에도 인상적인 글귀들이 많았다. 소중한 것이 생긴다는 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약속 시간을 정한다는 것이 내게 어떤 의미가 될지를 굉장히 애틋하고 아련하게 잘 풀어썼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책은 과연 다르다는 충만한 만족을 얻게 되었다. 2023. 5. 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