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473 [논리모델링] 엔터티만 보고 1차 정규화 대상 여부를 알 수는 없다. 1차 정규화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부터 간단하게 짚고 가도록 하겠다. 엔터티의 속성이 원자값(Atomic Value, 하나의 값)을 갖도록 테이블을 분해하는 것 속성이 하나의 값을 가진다는 의미는 속성 내에서 하나의 값을 가지는 것과, 레코드 단위에서 하나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해당 내용에서는 후자에 대해서만 언급하겠다. 아래 엔터티를 보자. 해당 엔터티에 대응되는 테이블에는 아래의 값을 예시로 한다. 여기서 환자번호 2의 김갑수 환자가 몇달 뒤 재진료를 하게 되어 신규 데이터가 발생하였다. 보이는가? 주민등록번호야 업무식별자니까 그렇다 치더라도 아래 4개의 데이터는 중복해서 들어갔다. 지번주소 도로명주소 상세주소 우편번호 성별 휴대폰 등록자명 등록자명의 경우 시스템속성이므로 제외하겠다. .. 2023. 6. 4. [후기] 언어의 무게 이번엔 파스칼 메르시어의 아래와 같은 책을 읽었다. 독서 기간은 아래와 같다. 2023-05-18 ~ 2023-06-03 처음 책을 마주 했을 때 들었던 생각은 암담함이었다. 책이 호신용품처럼 느껴질 정도로 두꺼웠다. 맞으면 아플 것 같다는 생각도 들었다. 읽는 내내 사건 전개보다는 개인의 생각이나 풍경묘사가 생각보다 많다는 점이 이어졌다. "오만과 편견"과 비슷할 수도 있겠으나 그 책은 개인의 성격이나 특징을 독특하게 튀어오르게 강조하는 느낌이 들었다면 이 책은 전체적으로 캐릭터들이 "담담" 했다. 등장 인물들의 주요 연령대가 50대 이상이어서 그럴 수도 있겠다. 그래서 더더욱 졸린 면도 있었다. 하지만 소재 자체는 괜찮았다. 번역가야 말로 그 책을 가장 잘 이해하는 사람이라고 언급했을 때에는 내가 지.. 2023. 6. 3. [논리모델링] 논리 모델링과 물리 모델링은 별개일까? 해당 내용을 논리 모델링에 쓸지, 물리 모델링에 쓸지 고민을 하였다. 현업에서는 논리 데이터 모델링을 먼저 진행하므로 해당 주제에 내용을 전개하고자 한다. 논리 모델링이란 무엇인가, 물리 모델링이란 무엇인가 개념적이고 이론적인 내용은 넘어가겠다. 대부분의 이론 책을 보면 다음과 같은 프로세스에 따라 모델링이 진행됨을 소개한다. 여기서 개괄 데이터 모델, 개념 데이터 모델에 대한 부분은 해당 글의 주제를 벗어나므로 제외한다. 논리 데이터 모델링과 물리 데이터 모델링은 언뜻 보기에는 전혀 다른 영역처럼 보인다. 하지만 다른 영역이라고 볼 수는 없다. 다시 아래와 같이 언급하고자 한다. 논리 데이터 모델과 물리 데이터 모델을 별개의 영역이라 보는 것은 좋지 않다. 그렇다면 같은 영역인가? 그것도 아니다. 필자.. 2023. 5. 29. [후기] 어린 왕자 동심을 되찾기 위해 생텍쥐페리 저자의 아래 책을 읽었다. 독서 기간은 아래와 같다. 2023-04-28 ~ 2023-04-30 이 유명한 책을 이제서야 읽다니 반성 한번과 기대 한번이 동시에 일어났다. 역시 명불허전답게 굉장히 낭만적인 글귀들이 많았다. 거기에 함축적이고 작가가 영혼을 갈아 넣었다는 듯한 느낌 또한 들었다. 특히 길들여진다는 의미에 대해서는 내 감정이 왜 이런가에 대해 객관적으로 알 수 있게 되어 더 좋았다. 그 외에도 인상적인 글귀들이 많았다. 소중한 것이 생긴다는 게 무엇을 의미하는지, 약속 시간을 정한다는 것이 내게 어떤 의미가 될지를 굉장히 애틋하고 아련하게 잘 풀어썼다. 세계적으로 유명한 책은 과연 다르다는 충만한 만족을 얻게 되었다. 2023. 5. 2. [후기] 데이터아키텍처 자격검정 실전문제 DAP 자격증 취득을 위하여 아래의 책을 읽었다.독서 기간은 아래와 같다.1회 차 : 2023-04-03 ~ 2023-04-082회 차 : 2023-04-08 ~ 2023-04-123회 차 : 2023-04-12 ~ 2023-04-144회 차 : 2023-04-22 ~ 2023-04-22처음엔 정말 소름 끼치게 힘들었다. 아는 문제도 모르는 문제도 채점을 하고 난 뒤, 다시 문제를 다 읽고 객관식 선택지도 다 읽고 답안지도 다 훑어봤다. 오기로 봤던 것 같다. 장점으로는 역시 데이터아키텍처 전문가 가이드의 내용이 딱딱한 이론이었다면, 이 이론을 실무에 어떻게 적용할지 좀 더 응용해서 문제가 나와서 좋았다. 물론 처음 채점할 때 비가 내렸던 건 슬펐다. 문제도 400문제 정도로 객관식은 충분하였다. .. 2023. 4. 23. [후기] 핵심 데이터 모델링 DAP 자격증 관련으로 마지막 이론 공부를 위하여 아래의 책을 읽었다.독서 기간은 아래와 같다.1회 차 : 2023-03-25 ~ 2023-03-282회 차 : 2023-03-28 ~ 2023-03-313회 차 : 2023-03-31 ~ 2023-04-03거의 4일에 한번씩 정독 한 것 같다. 나중엔 A 예제가 나오면 바로 다음의 B 예제까지 떠올랐다. 내용이 색달랐다. 거기서 거기일 줄 알았더니 또다른 충격을 받았다. 가장 최근에 읽은 김기창 선배님의 데이터 모델링 강의 책이 기술적인 부분에서 내부적으로 파고 드는 느낌(단단해지는 느낌?)이였다면 이 책은 도메인적인 부분에서 외부적으로 확장하는 느낌이었다. 그리고 두 번째 정독에서 확장 당하는 느낌을 받아 머리가 아찔하였다(실제로 어지러워 잠깐 침.. 2023. 4. 3. [후기] 도파민네이션 애나 렘키 저자의 도파민네이션 책을 읽었다. 표지는 아래와 같다. 독서 기간은 아래와 같다. 2023-03-12 ~ 2023-03-26 쾌락과 중독에 대하여 정신과 의사 입장에서 서술한 책이다. 일단 표지가 예뻐서 좋았다. 정신과의사가 환자들과의 다양한 상담 사례, 본인의 경험을 풀어나가는 전개방식이 읽기 편했다. 또한 동양에서는 마약이 금지되어 기껏해봐야 본드(?), 양귀비? 정도 밖에 모르는데 서양에서의 환자들 내력을 보면 정말 대단했다. 환자 본인이 접한 마약 종류가 10개가 넘어갔고, 10개가 넘는다는 사실에 놀랐으며 10개가 넘는 마약을 접할 수 있다는게 놀랐고, 10개가 넘는 마약을 했음에도 상담을 받으러 올 정신을 유지할 수 있음에 놀랐다. 하지만 역시 전문용어가 꽤 많은 편이었고, 지성인 .. 2023. 3. 26. [후기] 김기창의 데이터 모델링 강의 DAP 자격증 취득을 위해 아래의 책을 읽었다.독서 기간은 아래와 같다.1회 차 : 2023-03-13 ~ 2023-03-182회 차 : 2023-03-18 ~ 2023-03-223회 차 : 2023-03-22 ~ 2023-03-25첫 정독을 끝내고 난 후의 감동은 정말 황홀하였다. 이 책의 가장 큰 장점은 지극히 실무적이라는 점이였다. 이론을 토대로 실무에 있을 법한 다양한 예시를 제시해주었고 그 예시들은 모두 실무를 해본 사람만이 많은 설득의 과정 중에서 정수만 뽑아 놓은 듯 신묘막측하였다. 많은 내용들이 있었지만 엔터티를 제대로 정의하는 것, 어떻게 엔터티를 정의하는게 제대로 정의하는 것인지 풀어가는 것이 좋았다. 무엇보다 책을 읽으면서 좋았던 부분은, 모든 내용이 하나의 큰 줄기를 이루고 있다.. 2023. 3. 25. [후기] 데이터 모델링 실전처럼 시작하기 DAP 자격증 취득을 위해 아래의 책을 읽어봤다.독서 기간은 아래와 같다.1회 차 : 2023-03-08 ~ 2023-03-102회 차 : 2023-03-10 ~ 2023-03-123회 차 : 2203-03-12 ~ 2023-03-13굉장히 빨리 읽어 대충 훑어본거 아니냐고 생각할 수도 있다. 분량이 생각보다 많이 짧았다. 전체적인 감상으로는 "2번 째 참고서로 읽기 적합하다"였다. 처음 접하기엔 실전 모델링 부분을 이해하기 어려울 수도 있고 다른 여러 참고서를 접한 후 읽기에는 내용이 좀 아쉬운 부분이 있을 수 있다는 생각이 들었다. 가장 좋았던 부분은 역시 2장 실전 모델링 과정을 업무 요건과 함께 개념 모델링 > 논리 모델링으로 풀어 나아가는 과정이었다. 이 부분 하나만으로도 2만원 어치의 .. 2023. 3. 13.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