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전체 글409 [Zookeeper] Zookeeper 소개 주키퍼 도입 배경과거에는 한 대의 컴퓨터에서 동작하는 단일 프로그램이 대다수였으나, 현재 빅데이터와 클라우드 환경에선 대규모의 시스템들이 동작하고 있음이 대규모 시스템은 수많은 서버와 인프라로 구성 되어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함복잡한 시스템 구조로 인하여 각 애플리케이션이 공유하고 있는 클러스터 자원에 무분별한 쓰기 동작으로 인한 경쟁 상태가 발생할 수도 있고, 단일 장애점이 쉽게 발생되기도 함결국 이 개별적인 시스템들을 각각 조율해야 하는 코디네이션 시스템의 수요가 발생이러한 분산 코디네이션 시스템의 수요가 발생하더라도, 정작 대강 만들거나 필요한 로직에 집중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가 많아짐주키퍼는 무엇인가?분산 코디네이션 서비스를 제공하는 오픈소스개발자가 코디네이션 로직보다는 비즈니스 핵심 로직에 집중하.. 2023. 7. 14. [시향후기] 조말론 오드 앤 베르가못 저번 블랙베리 앤 베이 향수를 사면서 견본품으로 받았다. 첫향은 뭔가 신사적인 나라의 가을, 어떤 낙엽 진 거리를 거닐다가 살짝 어둑해진 밤공기를 타고 온 바다향기 같은 깔끔함이 느껴진다. 우디향이다. 뭐 확 무겁고 그런 건 없지만 막 가볍지만도 않다. 젠틀하고 댄디한, 40대의 중후함에 잘 어울릴 것 같다. 20대가 구사하기엔 좀 어려울 것 같다는 생각도 든다.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40대 젠틀&댄디함&중후함데일리향기깔끔함무겁지도 가볍지도 않음우디향개인적인 취향은 아님상대방이 좋은 향 2023. 7. 11. [시향후기] 조말론 블랙베리 앤 베이 예전에 백화점 가서 시향을 하고 나서 언젠가 꼭 사야겠다 벼루다가 이번에 구매를 하였다. 30ml 짜리로 구매하였고 온라인 쇼핑몰에서 가격비교를 해보니 싼건 6만원대까지 있었다. 후기를 보니 역시나 싼게 비지떡이었다. 그래서 정가로 생각되는 가격에 질렀다. 10.5만원 쯤 되었던 것 같다. 이틀 만에 배송이 왔다. 바로 시향을 해본 결과 킁카킁카킁카킁카 첫향은 달콤하면서도 고급졌고, 첫향이 사라지면서 남긴 여운도 깔끔했다. 알코올 냄새가 전혀 나지 않았다. 역시 비싼건 다르구나 싶었다. 지속력도 괜찮은 편이었다. 이럴줄 알았으면 50ml를 살걸 생각이 들었다. 스페셜 데이에 쓰기보단 데일리로 쓰기 적합할 것 같다. 사계용이고 중성이지만 좀 더 여성에 가까운(52%?) 느낌이 들었다. 캐쥬얼한 느낌의.. 2023. 7. 6. [Python] cave 게임 소스 코드 분석 개요 간단한 가로 스크롤 게임이다. 많은 직사각형을 뿌리면서 가로 방향으로 나열해서 동굴을 표현하였다. 프레임마다 모든 직사각형을 왼쪽 방향으로 움직이고, 맨 앞(왼쪽 끝)의 직사각형을 제거, 오른쪽 끝에 새로운 직사각형을 추가해 가로 방향의 스크롤을 구현하였다. 게임 화면 소스 코드# -*- coding: utf-8 -*-"""Created on Tue Jun 27 23:05:14 2023@author: june"""""" cave - Copyright 2016 Kenichiro Tanaka """# 게임을 종료하기 위해 sys 라이브러리를 가져옴import sys# random 패키지에서 radint 라이브러리를 가져옴from random import randint # 게임을 만들기 위해 pygam.. 2023. 7. 3. [Python] 기본적인 데이터형과 데이터 구조 파이썬을 공부하면서 기본적인 데이터형과 데이터 구조에 대해 나름 정리하고자 이 글을 쓴다. 함수와 메서드 차이함수 : 여러 개의 처리를 기능별로 모아 놓은 것max(), min()과 같은 명령은 특정 요소에 관련돼 있지 않고 원하는 때에 호출할 수 있음특정 요소(= 객체)에 관련된 함수를 메서드라고 함예를 들어 append와 insert는 아래처럼 쓰일 수 있다.weekdays.append("hello")weekdays.insert(1, "world") 반면 del은 아래와 같다.del items[2]append나 insert는 조작 대상이 명확하다. 따라서 이러한 함수가 메서드다.이와 반대로 del은 파이썬이 원래부터 준비하고 있는 명령이다. 배열 리스트튜플사전작성 방법[] 대괄호() 소괄호{} 중괄호.. 2023. 6. 27. [Python] 어쩌면 FPS가 부하를 일으켰을 수도 있다. 근본이 DBA다 보니 DBMS의 CPU, MEMORY, STORAGE 관련 지표들에 민감한 편이다. 민감한 만큼 그 지표들이 평온한 호수의 잔잔한 수면을 유지하길 바란다. 하지만 현재 파이썬을 배우다가 fps 관련 코드를 접하게 되었고 "어쩌면 이 부분이 DBMS의 부하에 대한 트러블 슈팅을 하는데 인사이트를 줄 수도 있겠다" 싶은 생각이 문득 들었다. FPS에 대해 먼저 간략하게 소개하고 진행하겠다. 초당 프레임 레이트로 윈도(혹은 화면)가 처리되는 주기 위 내용에서 처리란 무엇일까? 윈도(혹은 화면)에 일어나는 이벤트들이다. 이벤트라 함은? 아래와 같은 예시를 들 수 있다.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클릭하였다.우측 방향키를 누르고 있는다.ESC키를 누른다.윈도 창의 나가기버튼(X 버튼)을 누른다.. 2023. 6. 22. [리눅스] 특수 권한이란? 이번에 ISMS 심사 사전 조치 관련해서 리눅스 OS 영역 피드백을 전달받았다. 물론 role만 따지면 시스템인프라팀이라던가 시스템엔지니어팀에서 관리하는게 맞겠지만 회바회이기 때문에 해당 서버의 관리자(서버 신청자라서)인 내가 조치를 하게 되었다. 확인 사항으로는 아래와 같았다. setuid가 설정된 파일이 감지됨. 필요한 권한인지 확인 및 불필요시 제거 리눅스를 안해본 건 아니지만(사실 검은 화면이 더 편한 상태다) 처음 보는 기능이었다. 어서 리눅스마스터1급을 따야.. 여하튼 제거를 할지 판단하기 전에 해당 기능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필요하다면 왜 필요한지부터 조사해야 했다. 해당 기능이 무엇인지는 아래와 같다. setuid : 실 사용자(프로그램을 실제 사용하는 사용자)에서 프로그램 소유자의 i.. 2023. 6. 17. [직업고찰] DBA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DBA가 하는 일부터 먼저 살펴보는게 순서일 것 같다. DBA란 DBMS를 관리하는 사람을 뜻한다. 처음 접했을 땐 DB를 관리하는 사람이라 생각했다. DB는 데이터를 모아 놓은 일련의 논리적 공간이다. DBMS는 데이터를 모아 놓은 일련의 물리적 공간이다. DBMS를 관리한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할까? 아래를 예시로 들 수 있겠다.DBMS 백업/복구 정책 설정DBMS Version 관리(EOS)를 위한 upgrade(patch)DBMS 보안 이슈 해결(정보보안팀과 연계되어 있겠지만 기능적인 부분은 DBA가 챙겨야 할 것이다)DBMS 성능 문제 해결Data 정합성 문제 해결(DBMS적인 관점에서) DBMS 자체가 Data랑 관계가 아주 깊다. 어느 부분에서는 서로 간에 경계가 없는 듯하다. 예를 들어.. 2023. 6. 10. [논리모델링] 엔터티만 보고 1차 정규화 대상 여부를 알 수는 없다. 1차 정규화에 대한 이론적인 내용부터 간단하게 짚고 가도록 하겠다. 엔터티의 속성이 원자값(Atomic Value, 하나의 값)을 갖도록 테이블을 분해하는 것 속성이 하나의 값을 가진다는 의미는 속성 내에서 하나의 값을 가지는 것과, 레코드 단위에서 하나의 값을 가지는 것으로 나눌 수 있다. 해당 내용에서는 후자에 대해서만 언급하겠다. 아래 엔터티를 보자.해당 엔터티에 대응되는 테이블에는 아래의 값을 예시로 한다. 여기서 환자번호 2의 김갑수 환자가 몇달 뒤 재진료를 하게 되어 신규 데이터가 발생하였다. 보이는가? 주민등록번호야 업무식별자니까 그렇다 치더라도 아래 4개의 데이터는 중복해서 들어갔다.지번주소도로명주소상세주소우편번호성별휴대폰등록자명등록자명의 경우 시스템속성이므로 제외하겠다. 하지만 나머지.. 2023. 6. 4. 이전 1 ··· 40 41 42 43 44 45 46 다음 728x90 반응형